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30 June 2024. 31-36
https://doi.org/10.21218/CPR.2024.12.2.031

ABSTRACT


MAIN

  • Subscript

  • 1. 서 론

  • 2. 실험방법

  • 3. 결과 및 고찰

  •   3.1 poly-Si 결정화

  •   3.2 도핑 배리어 유무에 따른 패시베이션 품질 분석

  •   3.3 poly-Si thickness에 따른 기생흡수량 변화

  • 4. 결 론

Subscript

Polysilicon (poly-Si)

Tunnel oxide (SiOx)

Silicon oxide (SiO2)

Spin on dopant (SOD)

Quasi-steady-state photoconductance (QSSPC)

Tunnel oxide passivating contact (TOPCon)

Silicon hetero junction (SHJ)

Back surface field (BSF)

Amorphous silicon (a-Si)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SIMS)

1. 서 론

태양광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은 지속 가능한 저탄소 배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주요 기술 중 하나로 이 중 결정질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는 안정성과 신뢰성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고효율 실리콘 태양전지의 연구는 계속해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높은 개방 전압(Voc)을 달성하기 위해 재결합 손실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개발하는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 2).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가장 많은 재결합 손실이 일어나는 곳 중 하나는 금속 전극과 Si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 영역이다3). 금속 전극과 Si 사이에는 수많은 계면 결함이 존재하며 이 결함으로 인해 캐리어들이 전극으로 이동할 때 재결합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개방 전압 및 전체 소자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의 핵심 연구과제는 전극과 실리콘 사이의 접촉 영역을 최소화하여 재결합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4).

Passivating contact은 이러한 접촉 영역을 완전히 없앤 후 금속 전극과 실리콘 사이에 계면의 결함을 줄일 수 있도록 얇은 패시베이션 박막과 하나의 캐리어만 전극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핑 된 박막을 삽입하여 캐리어 선택성을 높인 구조이다. Passivating contact이 활용된 고효율 실리콘 태양전지 구조로는 Fig. 1에서 볼 수 있듯이 대표적으로 amorphous Si (a-Si)을 사용한 SHJ 또는 HIT cell5)이라 불리는 구조와 poly-Si 및 SiOx를 사용한 TOPCon6) 구조 및 POLO7) 구조 등이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cpr/2024-012-02/N0170120201/images/cpr_12_02_01_F1.jpg
Fig. 1

Passivating contact structures (a) SHJ solar cell (b) TOPCon solar cell (c) Double side TOPCon solar cell

a-Si막을 이용한 SHJ 태양전지는 진성 a-Si막(i-poly-Si)을 사용하여 계면을 패시베이션시키고 도핑 된 a-Si막을 이용하여 전극에 선택적으로 캐리어를 전달하면서 높은 패시베이션 특성을 가질 수 있었고 26.7%의 높은 효율을 달성하였다8). 하지만 재료 특성 상 고온에서 열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온 공정만 가능하며 캐리어 전도를 위해 transparent conduction oxide (TCO)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때문에 고온 공정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있어서 유리한 poly-Si막을 이용한 태양전지 구조인 tunnel oxide passivated contact (TOPCon) 태양전지와 polycrystalline on oxide (POLO) 태양전지가 차세대 태양전지 구조로 각광받고 있다9, 10). 그 중 Fraunhofer ISE에서 개발한 TOPCon 태양전지는 lab-scale에서는 25.7%11)의, 대면적으로는 25.1%12)의 SHJ과 비슷한 수준의 고효율을 보고하였다. TOPCon 구조에서 26% 이상의 고효율을 얻는 방법의 핵심은 보론 에미터와 전면 전극의 접촉 영역에서의 재결합을 줄이는 것이다13, 14).

따라서 후면뿐만이 아니라 전면에서도 재결합을 줄이기 위한 double side TOPCon 태양전지 구조가 제시되었다15, 16). 해당 구조는 전극과 Si 사이에 얇은 터널링 산화막(SiOx)과 함께 도핑 된 polysilicon (poly-Si)막이 에미터 및 back surface field (BSF)로 삽입되었기 때문에 SiOx의 뛰어난 계면 패시베이션 특성과 도핑 된 poly-Si막의 전계효과 및 캐리어 선택성 능력으로 Al-BSF, p-PERC과 같은 다른 태양전지 구조에 비해 높은 개방전압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다만, double side TOPCon 태양전지 구조는 전극과 bulk-Si간의 직접적인 접촉영역을 완전히 없앰으로써 높은 Voc를 얻을 수 있지만, poly-Si에서 발생하는 기생흡수 문제로 인해 단락 전류(Jsc)가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7). 특히 빛을 직접적으로 흡수하는 전면에 위치한 boron doped poly-Si에서의 기생흡수는 태양전지 효율의 큰 영향을 끼친다18).따라서 해당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작할 때의 핵심은 얇은 poly-Si을 사용하여 기생흡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패시베이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얇은 poly-Si을 태양전지 전면에 적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두꺼운 poly-Si을 증착 및 도핑 한 뒤 etch-back 공정을 통해 도핑 된 poly-Si을 에칭함으로써 얇은 층을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꺼운 poly-Si이 도핑과정 중 bulk-Si으로 과도핑 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19, 20).

두 번째 방법은 초기에 얇은 poly-Si을 증착한 후 도핑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초기에 poly-Si 증착 후 바로 도핑을 진행하므로 poly-Si이 도펀트가 Si으로 과도핑 되는 것을 막아주지 못하기에 Auger 재결합으로 인해 Voc가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존재한다21). 이 때, 보론 도핑 된 poly-Si은 인이 도핑 된 poly-Si에 비해 에칭 속도가 도펀트 농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22). 따라서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할 경우, poly-Si의 두께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poly-Si의 기생흡수를 최소화하면서도 poly-Si의 도펀트 조절 효과를 얻기 위해 얇은 poly-Si막을 증착시킨 후 도핑 배리어로써 SiO2막을 추가로 증착하여 Auger 재결합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였다.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Czochralski 방법을 통해 성장시킨 n-type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웨이퍼의 두께 및 비저항은 각각 180 µm, 1-2 Ω·cm였다. 웨이퍼를 Saw damage etching (SDE) 공정으로 표면을 평탄화시킨 후 RCA 공정 방식으로 클리닝함으로써 웨이퍼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터널링이 가능한 얇은 산화막을 증착하기 위해 H2O2 용액을 사용하여 습식 산화 방식으로 1.2 nm의 SiOx를 성장시켰으며, 순차적으로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장비를 이용하여 약 600°C의 온도에서 SiH4 가스를 이용하여 샘플 표면에 i-poly-Si막을 약 50 nm의 두께로 증착시켜 샘플을 준비하였다. 이때 증착된 i-poly-Si은 600°C의 온도에서 증착되었기 때문에 비정질에 가까운 상을 가진다.

도핑 배리어인 SiO2는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장비를 통해 N2O 및 SiH4 가스(1:1)를 사용하여 i-poly-Si 위에 10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후 Filmtronics 사의 B155 source를 표면에 도포시킨 뒤 스핀 코터 장비를 통해 5000 rpm에서 15초 동안 급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스를 균일하게 코팅해주었다. 그 후 핫플레이트에서 200°C에서 10분 동안 건조함으로써 소스의 유기물을 제거한 뒤 퍼니스 장비를 이용하여 N2 분위기에서 950°C 10분 조건에서 열처리를 진행함으로써 도핑 및 poly-Si의 결정화를 완료하였다.

열처리 후 보론 도핑 된 폴리실리콘 위의 boron silicate glass (BSG) 및 native oxide를 제거하기 위해 HF 용액(SAMCHUN, 48.8-49.2%)에 20분 동안 담궈 막을 지웠으며, 이후 수소화 공정을 통해 추가적인 패시베이션 공정을 진행하였다. 수소화 공정은 Al2O3 10 nm 및 SiNx 100 nm 증착 후 혼합 가스(N2:H2 = 95:5) 분위기에서 300°C에서 약 45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완료되었다. 실험 순서도 및 모식도는 Fig.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cpr/2024-012-02/N0170120201/images/cpr_12_02_01_F2.jpg
Fig. 2

Experimental procedures to fabricate p+poly-Si contact samples

이후 poly-Si/SiOx 에미터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패시베이션 품질의 영향을 주는 요소인 (1) poly-Si의 결정화 특성 (2) 도핑 조건에 따른 프로파일 특성(in-diffusion 깊이 및 poly-Si의 도핑 농도에 따른 전계 효과)을 확인해봄으로써 패시베이션 특성을 분석하였다.

poly-Si의 결정화 특성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및 X-ray diffraction (XRD) 측정을 통해 열처리 전후에 따른 결정화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도핑 후 프로파일 및 그에 따른 패시베이션 품질은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측정 및 QSSPC 장비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핑 배리어가 고효율의 poly-Si/SiOx 에미터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를 확인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poly-Si 결정화

도핑 된 poly-Si막을 열처리 하게 되면, poly-Si이 결정화 되면서 표면 패시베이션 특성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도펀트가 poly-Si 박막으로부터 bulk-Si 기판으로 in-diffusion 되기 때문에 Auger 재결합을 최소화 시키면서도 poly-Si은 결정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poly-Si의 패시베이션 품질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열처리 조건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Fig. 3은 에미터 형성 조건인 950°C 10분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을 때의 poly-Si의 결정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처리 전후에 따른 TEM 및 XRD를 측정한 결과이다.

Fig. 3의 (a-1) 및 (b-1)은 열처리 전후에 따른 샘플의 TEM 사진이며 (a-2) 및 (b-2)는 각각 이를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oly-Si의 회절패턴을 측정한 사진이다. 이 그림과 Fig. 3(c)의 열처리 전후에 따른 XRD 패턴의 변화를 통해 열처리 공정을 통해 poly-Si이 완전히 결정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cpr/2024-012-02/N0170120201/images/cpr_12_02_01_F3.jpg
Fig. 3

Crystallization of poly-Si (a-1) TEM images before annealing (a-2) Diffraction patterns of poly-Si before annealing (b-1) TEM images after annealing (b-2) Diffraction patterns of poly-Si before annealing (c) XRD patterns as a function of annealing

3.2 도핑 배리어 유무에 따른 패시베이션 품질 분석

Fig. 4는 배리어 삽입 유무 및 패시베이션막 조건에 따른 패시베이션 품질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배리어를 삽입한 샘플은 모두 삽입하지 않은 샘플에 비해 약 50 mV이상의 iVoc 값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cpr/2024-012-02/N0170120201/images/cpr_12_02_01_F4.jpg
Fig. 4

Implied open circuit voltage of p+poly-Si contact samples as a function of doping barrier and passivation layer

그리고 BSG를 에칭하기 전 샘플과 HF 용액을 통해 완전히 에칭한 후의 샘플, BSG를 에칭한 후 추가 패시베이션 공정을 진행한 샘플에 따른 poly-Si/SiOx의 패시베이션 품질을 비교한 결과 패시베이션 막이 존재할 경우 약 20 mV의 iVoc 값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인이 도핑된 poly-Si/SiOx와는 다르게, Auger 재결합뿐만 아니라 poly-Si 표면의 재결합을 줄이는 패시베이션 역시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인이 도핑된 poly -Si/SiOx와는 달리, 보론이 도핑된 poly-Si/SiOx에서는 소수 캐리어가 poly-Si 내부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Al2O3/SiNx 박막을 이용한 전하를 통한 패시베이션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Fig. 5(a)의 도핑 프로파일을 보면 표면 농도는 배리어의 유무에 상관없이 유사한 값을 보이지만 확산 깊이를 비교해보면 배리어를 삽입할 경우 깊이가 약 400 nm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Fig. 5(b)와 Table 1은 프로파일에 따른 재결합 손실의 구성 비율을 EDNA2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한 결과이다.시뮬레이션 결과, 확산 깊이의 감소로 인해 J0,Auger값이 27.4 fA/cm2에서 9.5 fA/cm2로 약 33%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cpr/2024-012-02/N0170120201/images/cpr_12_02_01_F5.jpg
Fig. 5

SIMS data and calculated J0 values by EDNA2 as a function of doping barrier

Table 1.

Composition ratio of recombination current as a function of doping barrier

Sample Recombination current (fA/cm2)
J0,Auger J0,interface
w/o barrier 27.4 35
w/ barrier 9.5 12.2

이를 통해 도핑 배리어 SiO2가 in-diffusion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며 그로 인해 Auger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3.3 poly-Si thickness에 따른 기생흡수량 변화

최종적으로 50 nm의 얇은 poly-Si 사용 시, 실제로 기생흡수량을 줄일 수 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poly-Si 두께에 따른 기생흡수량과 그에 따른 absorbance의 변화를 Sunsolve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 6은 double side TOPCon구조에서 파장대 별로 bulk-Si의 absorbance값과 poly-Si의 기생흡수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면의 보론 도핑 된 poly-Si이 존재하는 부분인 단파장대에서는 poly-si의 두게가 증가할수록 기생흡수량은 증가하고 그로 인해 si의 absorbance 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cpr/2024-012-02/N0170120201/images/cpr_12_02_01_F6.jpg
Fig. 6

(a) Bulk-Si absorbance (Sunsolve simulation) (b) parasitic absorption (Sunsolve simulation) as a function of poly-Si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 double side TOPCon 구조에서 poly-Si 기반의 passivating contact 에미터를 형성할 때, poly-Si의 기생효과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얇은 poly-Si을 사용하면서도 두꺼운 poly-Si만큼 Auger 재결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도핑 배리어를 삽입하여 그에 따른 in-diffusion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50 nm의 얇은 poly-Si 샘플에서 도핑 배리어를 삽입함으로써 in-diffuison depth를 약 400 nm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iVoc가 배리어를 삽입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70 mV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도핑배리어를 삽입하게 되면 poly-Si의 기생흡수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높은 개방전압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s

1

C. Ballif, F.-J. Haug, M. Boccard, P. J. Verlinden, G. Hahn, Status and perspectives of crystalline silicon photovoltaics in research and industry. Nat. Rev. Mater. 7, 597-616 (2022).

10.1038/s41578-022-00423-2
2

P.-J. Ribeyro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Better than ever. Nat. Energy. 2, 1-2 (2017).

10.1038/nenergy.2017.67
3

W. Mönch, Metal-semiconductor contacts: electronic properties. Surface Science. 299, 928-944 (1994).

10.1016/0039-6028(94)90707-2
4

S. W. Glunz, F. Feldmann, SiO2 surface passivation layers-a key technology for silicon solar cells. Sol. Energy Mater. Sol. Cells. 185, 260-269, doi:10.1016/j.solmat.2018.04.029 (2018).

10.1016/j.solmat.2018.04.029
5

M. Taguchi, K. Kawamoto, S. Tsuge, T. Baba, H. Sakata, M. Morizane, O. Oata, HITTM cells-high‐efficiency crystalline Si cells with novel structure. Progress in photovoltaics: Research and applications. 8, 503-513 (2000).

10.1002/1099-159X(200009/10)8:5<503::AID-PIP347>3.0.CO;2-G
6

F. Feldmann, M. Bivour, C. Reichel, M. Hermle, S. W. Glunz, Passivated rear contacts for high-efficiency n-type Si solar cells providing high interface passivation quality and excell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Sol. Energy Mater. Sol. Cells. 120, 270-274 (2014).

10.1016/j.solmat.2013.09.017
7

U. Römer, R. Peibst, T. Ohrdes, B. Lim, J. Krügener, E. Bugiel, R. Brendel, Recombination behavior and contact resistance of n+ and p+ poly-crystalline Si/mono-crystalline Si junctions. Sol. Energy Mater. Sol. Cells. 131, 85-91 (2014).

10.1016/j.solmat.2014.06.003
8

K. Yoshikawa, W. Yoshida, T. Irie, H. Kawasaki, K. Konishi, H. Ishibashi, K. Yamamoto, Exceeding conversion efficiency of 26% by heterojunction interdigitated back contact solar cell with thin film Si technology. Sol. Energy Mater. Sol. Cells. 173, 37-42 (2017).

10.1016/j.solmat.2017.06.024
9

M. Lu, K.Mikeska, R. K, C. Ni, Y. Whao, F. Chen, X. Xie, C. Zhang, in 2021 IEEE 48th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0954-0957 (IEEE).

10

M. Lu, K. Mikeska, R. K, C. Ni, Y. Whao, F. Chen, X. Xie, C. Zhang, Screen-Printable contacts for industrial N-TOPCo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IEEE J. Photovolt. 12, 469-473 (2022).

10.1109/JPHOTOV.2021.3138248
11

A. Richter, J. Benick, F. Feldmann, A. Rell, M. Hermle, W. S. Glunz, N-Type Si solar cells with passivating electron contact: Identifying sources for efficiency limitations by wafer thickness and resistivity variation. Sol. Energy Mater. Sol. Cells. 173, 96-105 (2017).

10.1016/j.solmat.2017.05.042
12

V. Shaw, Pv Magazine Home Page. Available online: https://www.pv-magazine.com/2021/05/03/longi-sets-topcon-cell-record-of-25-09/ (accessed on 23 November 2022).

13

A. Richter, R. Muller, J. Benick, F. Feldmann, B. Steinhauser, C. Reichel, W. S. Glunz, Design rules for high-efficiency both-sides-contacted silicon solar cells with balanced charge carrier transport and recombination losses. Nat. Energy. 6, 429-438 (2021).

10.1038/s41560-021-00805-w
14

D. K. Ghosh, S. Acharyya, S. Bose, G. Das, S. Mukhopadhyay, A. Sengupta, A detailed theoretical analysis of TOPCon/TOPCore solar cells based on p-type wafers and prognosticating the device performance on thinner wafers and different working temperatures. Silicon. 15, 7593-7607 (2023).

10.1007/s12633-023-02606-0
15

A. Jain, W.-J. Choi, Y.-Y. Huang, B. Klein, A. Rohatgi, Design, optimization,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front and rear junction double-side passivated contacts solar cells. IEEE J. Photovolt. 11, 1141-1148 (2021).

10.1109/JPHOTOV.2021.3086461
16

Y.-Y. Huang, A. Jain, W. J. Choi, K. Madani, Y. W. Ok, A. Rohatgi, in 2021 IEEE 48th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1971-1976 (IEEE).

17

S. Reiter, N. Koper, R. Reineke-Koch, Y. Larionova, M. Turcu, J. Krügener, R. Peibst, Parasitic absorption in polycrystalline Si-layers for carrier-selective front junctions. Energy Procedia. 92, 199-204 (2016).

10.1016/j.egypro.2016.07.057
18

S. Deng, Y. Cai, U. Roemer, F. J. Ma, F. Rougieux, J. Huang, N. Song, Mitigating parasitic absorption in Poly-Si contacts for TOPCon solar cells: A comprehensive review. Sol. Energy Mater. Sol. Cells. 267, 112704 (2024).

10.1016/j.solmat.2024.112704
19

Z. P. Ling, Z. Xin, P. Wang, R. Sridharan, C. Ke, R. Stangl, Double-sided passivated contacts for solar cell applications: An industrially viable approach toward 24% efficient large area silicon solar cells. Silicon Materials. 89 (2019).

20

H. Park, S. Bae, S. J. Park, J. Y. Hyun, C. H. Lee, D. Choi, D. Kim, Role of polysilicon in poly-Si/SiOx passivating contacts for high-efficiency silicon solar cells. RSC Adv. 9,23261-23266, doi:10.1039/c9ra03560e (2019).

10.1039/C9RA03560E35514484PMC9067244
21

H. Park, J. Kim, D. Choi, S. W. Lee, D. Kang, H. S. Lee, Y. Kang, Boron‐doped polysilicon using spin‐on doping for high‐efficiency both‐side passivating contact silicon solar cells. Progress in photovoltaics: Research and applications. 31, 461-473 (2023).

10.1002/pip.3648
22

W. L. Yang, C.-Y. Cheng, M. S. Tsai, D.-G. Liu, M.-S. Shieh, Retardation in the chemical-mechanical polish of the boron-doped polysilicon and silicon. IEEE Electron Device. Lett. 21, 218-220 (2000).

10.1109/55.84130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